분류 전체보기12 원시 타입과 참조 타입 - 1. V8 엔진의 숫자 처리 방식 원시 타입과 참조 타입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에 대해 MDN 문서에는 아래와 같이 나와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은 원시 타입(Primitive types)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s)으로 나뉘며, 각각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MDN 문서 참고).1. 원시 타입(Primitive Types)MDN 문서에 따르면, 자바스크립트는 7가지 원시 타입을 정의합니다:Boolean: 참(true)과 거짓(false)을 나타냅니다.null: 값이 없음을 나타내는 키워드입니다.undefined: 값이 정의되지 않은 변수가 가지는 기본 값입니다.Number: 정수 및 부동소수점 숫자를 포함합니다. 예: 42, 3.14.BigInt: 매우 큰 정수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9007199.. 2024. 10. 17. useCallback 알아보기 useCallback이란?React 공식 문서에 따르면, useCallback은 "리렌더링 간 함수 정의를 캐시할 수 있게 해주는 React Hook"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이 설명만으로는 useCallback이 왜 필요한지 와닿지 않거나, 언제 사용해야 하는지 불분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React에서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합니다. 공식 설명에 따르면:만약 상호작용이 주로 페이지나 섹션을 교체하는 방식이라면, 메모이제이션은 대부분 불필요합니다. 반면에 애플리케이션이 그림 편집기처럼 세밀한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경우(예: 도형을 이동시키는 작업), 메모이제이션이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useCallback이 유용한 몇 가지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memo로 감싸진 컴포넌트에 함수를 prop.. 2024. 10. 14. useRef 알아보기 useRef란?React 공식 문서에서는 useRef를 "렌더링에 필요하지 않은 값을 참조할 수 있게 해주는 React Hook"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Vue.js에 익숙한 저는 처음에 '굳이 훅을 사용하지 않고도 const나 let을 통해 변수를 선언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왜 React에서는 useRef라는 Hook을 따로 설계했을까요?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React에서 useRef가 필요한 이유React는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될 때마다 상태와 변수를 다시 초기화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값은 리렌더링과 상관없이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DOM 요소에 직접 접근하거나, UI 업데이트와는 무관하게 특정 값을 추적해야 할 때 useR.. 2024. 10. 13. useState 깊게 분석하기 useState란?React 공식 문서에서는 useState를 "컴포넌트에 상태 변수를 추가할 수 있게 해주는 Hook"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useState를 사용하면 컴포넌트 안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단순히 데이터를 컴포넌트에 넣는 것만으로는 상태가 변경되더라도 UI에 변경 사항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useState를 사용하면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React가 해당 컴포넌트를 다시 렌더링합니다. 이때 "컴포넌트에 상태 변수를 추가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구현되는 것입니다. 사용 예시가장 기본적인 사용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initialValue); 이 Hook은 두 가지를 반환합니다:sta.. 2024. 10. 10. 이전 1 2 3 다음